연혁
2000
2000년
∙ 〈광주여성민우회〉 창립, 〈서울남부지역모임〉 발족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시작
∙ 성폭력 가해자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시작
∙ 아시아 자매 회의(한국/일본/대만 참여 매년 개최)
∙ 최악의 방송 프로그램상 시상 활동
∙ 인터넷 음란물 대응활동, ‘여성들아, 인터넷에서 놀자’ 지역여성 정보교육
∙ ‘참여하는 여성이 아름답다’ 캠페인
∙ 러브호텔 난립 반대 운동
∙ 총선에서의 반여성적 인사 감시/ 낙천·낙선 운동
∙ 비례대표 30% 여성할당제 요구 활동
∙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 및 사회적 평가를 위한 토론회 개최
∙ 사내 부부 해고 반대 운동
∙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평등한 노동권 확보 운동
∙ 출산문화 바꾸기 운동(제왕절개 줄이기와 새로운 출산문화 운동전개)
∙ 평등한 모집 채용 모델 만들기 운동, ‘여성노동 영화제’ 개최
∙ ‘작게, 적게, 천천히’ 대안적 생활양식 운동 캠페인
∙ ‘구멍 뚫린 검역체계에 금속탐지기를’ 성명서 발표 및 항의 시위
2001
2001년
∙ 〈인천여성민우회〉 창립
∙ 나눔이 흥겨운 남산 걷기대회 개최
∙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지자체 여성정책과 예산분석 활동
∙ 저소득 실직가정 지원 사업 실직가정 돕기 결연사업
∙ 2001 워스트 방송 개선을 위한 시청자 캠페인, 시청자 평가단 발족
∙ 학부모와 어린이를 위한 출장 미디어교육
∙ 생명윤리기본법 제정운동
∙ 영유아 식품 및 학교급식에서 GMO 추방 운동
∙ 지자체법 개정, 주민소환제 도입활동,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 운동
∙ 여성노동 관련 법 개정운동, 간접차별·비정규직 실태조사 및 정책토론회 개최
∙ ‘한부모 양육비 지급이행을 위한 정책 심포지엄 I’ 개최
∙ ‘이혼 여성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실시
∙ 스타링크 옥수수 불법유통 규탄시위, ‘함께 나누는 쌀 이야기’ 개최
2002
2002년
∙ 나눔이 흥겨운 남산 걷기대회 개최
∙ 생리대 up down 캠페인, 일회용 월경대 부가가치세 면제 캠페인
∙ 성적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 제2의 여성참정권 운동생활정치, 지방자치 여성의 손으로!
∙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 캠페인 〈회식문화를 바꾸자〉
∙ 여성노동예산 및 정책분석 활동
∙ 기업의 사회 보고 제도 법제화 추진 활동
∙ ‘한부모 양육비 지급이행을 위한 정책 심포지엄 II’ 개최
∙ 한부모 자녀가 당당한 학교 만들기 ‘열려라, 한부모 세상’ 지침서 발간
∙ 생협 컨설팅 발표회 실시, 식생활 지도사 발대식 개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조합원 활동가 워크숍 실시(조합원 선언문 채택)
2003
2003년
∙ 호주제 폐지 운동
∙ 양육비 확보를 위한 가이드북 제작
∙ 평등한 일·출산·양육을 위한 캠페인
∙ 노조 여성 간부 교육 ‘노동과 페미니즘’ 개최
∙ 남녀고용평등법 실효성 제고를 위한 행정해석 분석
∙ 내 몸의 주인은 나 ‘No 다이어트 No 성형’ 캠페인
∙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 제5장 개정안 연구 활동
∙ 성폭력 가해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성폭력 없는 학교 만들기 심포지엄 개최
∙ 학교급식 개선활동, 양육비 확보를 위한 가이드북 제작
∙ 반외모지상주의 모니터단 운영 시작
∙ 초등학생 대상 미디어교육 시작
∙ 양성평등한 방송문화 형성을 위한 시청자 캠페인
2004
2004년
∙ 창립 17주년 후원 콘서트 〈WOMAN POWER 인순이 웃어라, 여성!〉 개최
∙ 성폭력 특별법 10주년 기념 토론회 개최
∙ 성교육 전문강사 워크숍
∙ 대학 내 반성폭력문화 확산을 위한 워크숍
∙ 성인지적 관점에서 다시 쓰는 심의 사례집 발간
∙ 여성미디어네트워크 추진 사업, 언론 피해 구제법 토론회 개최
∙ 모니터 교육 ‘여성의 눈으로 방송 보기 방송 쓰기’ 개최
∙ 미디어 바로보기 강사 양성교육 실시
∙ 생명공학 대응 운동
∙ 1318 초·월경 캠프 개최
∙ ‘월경 이야기’ 소책자 발행, 면 생리대 만들기 강좌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지침서 발간
∙ 사내 부부 해고 사건 백서 발간
∙ 평등한 일·출산·양육을 위한 캠페인 2 개최 Stop! 출산해고, Go! 평등 양육
∙ 영상물 ‘선택은 없다 일과 양육’ 방영 KBS 2TV 열린 채널 KBS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우수상 수상
∙ 한부모 가족 지원 단체 네트워크 결성 및 심포지엄·워크숍 개최
∙ 한국여성민우회 생협 15주년 기념행사 개최
2005
2005년
∙ 〈가족과성상담소〉에서 〈성폭력상담소〉로 전환
∙ 창립 18주년 후원 콘서트 〈심수봉&김범수 웃어라, 여성!〉 개최
∙ ‘가족’차별 드러내기·버리기 캠페인 및 정책 관련 연구 사업
∙ 노동시장 진입 차별 드러내기 실태조사 및 차별 해고 캠페인
∙ 성인지적 관점의 방송 심의 구축, 방송 통신 융합시대의 수용자 주권 의제화 활동
∙ ‘미디어 수용 자주권 연대’결성
∙ 성평등적 관점의 방송 심의 가이드라인 소책자 발간 및 토론회 개최
∙ 성평등한 방송 심의를 위한 새로운 모색 II - ‘방송사 자체 심의를 중심으로’ 토론회 개최
∙ 여성 건강 전문가 네트워크 구성, 여성 건강정책 감시활동
∙ 건강가정기본법 대응 활동
∙ 1318청소녀 건강 지키기 활동
∙ ‘생명과 여성의 관점에서 출산문화 다시 세우기’ 토론회 개최
2006
2006년
∙ 〈서울남부여성민우회〉 창립, 〈김포여성민우회〉 해산
∙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부설화
∙ 창립 19주년 후원 콘서트 〈SG 워너비 & SeeYa & MtoM & 박혜경〉 진행
∙ 성폭력 사건 보도 모니터링: 여성주의로 신문 읽기/성폭력 다시 쓰기 진행
∙ 가족문화 정책 방향 및 실천적 대안 찾기 토론회 개최
∙ 난자 채취 피해자 손해배상 청구 소송 활동
∙ 생명과학기술 시대 여성 인권 확보를 위한 국제포럼 개최
∙ 토론마당 ‘가정환경조사서, 필요한가’ 개최
∙ 지역 민우 네트워크 결성
2007
2007년
∙ 〈고양여성민우회〉 부설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하담’ 개소
∙ 〈춘천여성민우회〉 지역아동센터 ‘꿈틀이’ 개소
∙ 여성 건강정책 및 방향 모색을 위한 여성 건강포럼 개최
∙ 공공부문 비정규직 종합 대책 문제점과 해결 방안 토론회 개최
∙ 즐거운 호칭 문화 만들기 캠페인 호락호락 캠페인 2 진행
∙ 한부모 가족 Empowerment를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 개최
∙ 성인지적 방송 심의 가이드라인 수정 및 확산 활동
∙ 경·검찰 이렇게 할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
∙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반영한 문구 개선 활동
∙ 성폭력 관련 형법 개정안
2008
2008년
∙ ‘시민공간 나루’로 이전
∙ 차별 없는 나라로 캠페인: ‘뻔한 주례를 fun하게!’, ‘내 나이 묻지 마세요’
∙ 다양한 가족이 행복한 사회 만들기 싱글 맘들의 유쾌한 질주 ‘싱글맘, 벙글맘 되다!’ 캠페인
∙ ‘비혼모 정책 심포지엄: 양육 비혼모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개최
∙ 성평등한 그린 마포 만들기 캠페인
∙ ‘웃어라 명절’ 캠페인
∙ 성인지적 초등 미디어 교육 교재 개발
∙ 한국여성민우회 20주년 운동사 〈여성운동 새로 쓰기〉 발간
∙ 가족관계법 개정을 위한 공청회 개최
2009
2009년
∙ 한국여성민우회 생활협동조합 ‘3.8 여성대회 올해의 여성운동상’ 수상
∙ 경제 위기 상황에서의 여성노동 확보를 위한 연속 포럼 “again 1998 흔들리는 여성노동권, 대안을 모색한다” 개최
∙ 경제 위기 속 여성 노동자 집중 상담 “당신은 직장에서 안전하십니까?”
∙ 〈가난한 우리에 대한 보고서〉 발간
∙ 민우유스네트워크 20대 대학생 대상으로 페미 블로거 캠프 ‘웹 2.0세대 여성 운동을 접속하다’
∙ F(eminist) 씨의 B(log) 다방 몽땅 블로그(메타블로그) 개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설립 1주년 평가 토론회
∙ 여성 연예인 인권 서포터즈 운영
∙ 다문화 UCC 공모전 개최
∙ 방송 모니터 파일럿 대회
∙ 성폭력 예방 가정 통신문 모니터링
∙ 쌍용 자동차 파업 과도한 공권력 투입 대응, 4대강 운하백지화 공동행동, 최저임금·비정규직법 개악 저지 활동, 방송법 및 신문법 개정안 저지 활동
∙ 〈서울남부여성민우회〉 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