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낙태죄 개정을 위한 연속포럼
-첫번째,모자보건법상의'배우자 동의'항목의 악용사례
본 포럼은 낙태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것으로 낙태죄를 둘러싼 다양한 주제를 하나씩 짚어 나가기 위함입니다.첫 번 째 주제는 모자보건법 상의‘배우자 동의’항목으로 이 항목이 내포하는 사회 인식과 법적 문제를 살펴봅니다.
일시: 11월 7일(목) 2시~4시 반 장소: 인권중심 사람(2호선 홍대역, 6호선 망원역 근방) <발표> ‘낙태죄’현행 법체계 및 개정과 관련된 최근 동향 : 김정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객원연구원) ‘배우자 동의’ 항목의 실제 : 남성에 의한 협박 상담 사례 : 정슬아 (한국여성민우회 여성건강팀) 형법과 모자보건법상의 ‘배우자’가 내포하는 의미 : 배은경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낙태죄로 처벌받은 의정부 여성 처벌 건”공익 소송 과정 : 차혜령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
'경력단절'여성은 누구인가?
:현실과 어긋난 정부정책의 방향키를 다시 잡다.
대선 공약에서부터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내세운 박근혜 정부가 지난6월 발표한<고용률70%달성 로드맵>의 주요 키워드는‘경력단절’여성과 시간제 일자리였습니다.여성들의 실제 일 경험 속에서 현실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정책의 방향키를 다시,바로 잡고자 합니다.
일시 : 2013년 11월 13일(수) 오후 2시 장소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배재정동빌딩 1층 민주누리(시청역 10번 출구) ○ 분석보고 - '경력단절' 여성의 일경험과 일자리 현실 : 19명의 목소리를 담아내다. 강선미(한국여성민우회 여성노동팀) - 원주, 춘천 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실태조사 및 직업선호도조사 결과 정유선(원주여성민우회 대표) ○ 주제별 발표 - 로드맵 비판과 여성노동의 재구성 : 김원정(한성대 여성학 강사) - 당신은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십니까? : 장지연(한국노동연구원) - 실질적인 노동시간단축을 위한 정책방향 : 박제성(한국노동연구원) |
‘엄마 혼자 고군분투’로는 풀리지 않는 보육문제
[토론회]보육의 오늘을 말하다+내일을 그리다
아이 맡길 곳을 찾아 헤매야 하는 육아난민.
돌봄의 부담에 저당 잡힌 삶의 묵직함.
고군분투 해봐도 혼자서는 미션 임파서블.
가족이,엄마가 힘겹게 해내는 숙제는 이제 그만
국가공동체의 기본권으로 보육을 돌아 봅니다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성산종합사회복지관 대강당 발제 - 삶의 균형이 가능한 보육정책 확립을 위한 고민들 : 정영애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바라만봐도 행복한 아이의 얼굴/바라만 봐도 숨막히는 아이의 얼굴 : 직장과 어린이집 그 사이에서 _ 권박미숙 민우회 성평등복지팀 토론1 – 국미애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토론2 – 김원정 (한성대학교 여성학 강사) 토론3 – 안현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뚱뚱해서 죄송합니까-예뻐지느라 아픈 시대,그녀들의 이야기』(가)
출판 기념 북콘서트<고민은 치열하게,긍정은 쫄깃하게>
22명 여성들의 성형,다이어트 경험과 그녀들의 모습을 담은 인터뷰 사진집 출판을 기념하여‘외모 관리’의 힘듦 이면에 담긴 사회구조적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고,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당한 자기 긍정을 쫄깃하게 해나갈 힘을 주는 자리입니다.
* 장소 : 100주년기념교회 사회봉사관 지하2층 소극장 (합정역 7번 출구에서 5분 내) * 일시 : 11월 27일(수) 저녁 7:30 ~ 9:30 *․프로그램 : 1부 김선우 시인의 사회로 책을 주제로 한 토크쇼 사회: 김선우 (시인,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2부 ‘쫄깃한 긍정’을 위한 아이디어 발표 특별공연 : 시와 |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낙태죄 개정을 위한 연속포럼
-첫번째,모자보건법상의'배우자 동의'항목의 악용사례
본 포럼은 낙태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것으로 낙태죄를 둘러싼 다양한 주제를 하나씩 짚어 나가기 위함입니다.첫 번 째 주제는 모자보건법 상의‘배우자 동의’항목으로 이 항목이 내포하는 사회 인식과 법적 문제를 살펴봅니다.
일시: 11월 7일(목) 2시~4시 반
장소: 인권중심 사람(2호선 홍대역, 6호선 망원역 근방)
<발표>
‘낙태죄’현행 법체계 및 개정과 관련된 최근 동향 : 김정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객원연구원)
‘배우자 동의’ 항목의 실제 : 남성에 의한 협박 상담 사례 : 정슬아 (한국여성민우회 여성건강팀)
형법과 모자보건법상의 ‘배우자’가 내포하는 의미 : 배은경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낙태죄로 처벌받은 의정부 여성 처벌 건”공익 소송 과정 : 차혜령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경력단절'여성은 누구인가?
:현실과 어긋난 정부정책의 방향키를 다시 잡다.
대선 공약에서부터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내세운 박근혜 정부가 지난6월 발표한<고용률70%달성 로드맵>의 주요 키워드는‘경력단절’여성과 시간제 일자리였습니다.여성들의 실제 일 경험 속에서 현실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정책의 방향키를 다시,바로 잡고자 합니다.
일시 : 2013년 11월 13일(수) 오후 2시
장소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배재정동빌딩 1층 민주누리(시청역 10번 출구)
○ 분석보고
- '경력단절' 여성의 일경험과 일자리 현실 : 19명의 목소리를 담아내다.
강선미(한국여성민우회 여성노동팀)
- 원주, 춘천 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실태조사 및 직업선호도조사 결과
정유선(원주여성민우회 대표)
○ 주제별 발표
- 로드맵 비판과 여성노동의 재구성 : 김원정(한성대 여성학 강사)
- 당신은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십니까? : 장지연(한국노동연구원)
- 실질적인 노동시간단축을 위한 정책방향 : 박제성(한국노동연구원)
‘엄마 혼자 고군분투’로는 풀리지 않는 보육문제
[토론회]보육의 오늘을 말하다+내일을 그리다
아이 맡길 곳을 찾아 헤매야 하는 육아난민.
돌봄의 부담에 저당 잡힌 삶의 묵직함.
고군분투 해봐도 혼자서는 미션 임파서블.
가족이,엄마가 힘겹게 해내는 숙제는 이제 그만
국가공동체의 기본권으로 보육을 돌아 봅니다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성산종합사회복지관 대강당
발제
- 삶의 균형이 가능한 보육정책 확립을 위한 고민들 : 정영애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바라만봐도 행복한 아이의 얼굴/바라만 봐도 숨막히는 아이의 얼굴
: 직장과 어린이집 그 사이에서 _ 권박미숙 민우회 성평등복지팀
토론1 – 국미애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토론2 – 김원정 (한성대학교 여성학 강사)
토론3 – 안현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뚱뚱해서 죄송합니까-예뻐지느라 아픈 시대,그녀들의 이야기』(가)
출판 기념 북콘서트<고민은 치열하게,긍정은 쫄깃하게>
22명 여성들의 성형,다이어트 경험과 그녀들의 모습을 담은 인터뷰 사진집 출판을 기념하여‘외모 관리’의 힘듦 이면에 담긴 사회구조적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고,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당한 자기 긍정을 쫄깃하게 해나갈 힘을 주는 자리입니다.
* 장소 : 100주년기념교회 사회봉사관 지하2층 소극장 (합정역 7번 출구에서 5분 내)
* 일시 : 11월 27일(수) 저녁 7:30 ~ 9:30
*․프로그램 :
1부 김선우 시인의 사회로 책을 주제로 한 토크쇼
사회: 김선우 (시인,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2부 ‘쫄깃한 긍정’을 위한 아이디어 발표
특별공연 : 시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