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미디어[카드뉴스] 언론은 여성가족부 폐지 받아쓰기를 중단하라!

2022-10-12
조회수 8836

 

(1/5)

 

지난 10월 6일, 행정안전부는 여성가족부를 폐지한다는 방향을 담은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정부의 계획일 뿐이고 국회를 통과해야 여성가족부를 폐지할 수 있다.

 

여소야대 상황이고, 야당에서 여성가족부 폐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국회 통과가 가능할 것이라 전망하기 어렵다.

 

 

(2/5)
 

10월 6일 일부 언론에서는 여성가족부가 폐지된 것처럼 오인케 하는 헤드라인을 사용했다.

 

헤드라인을 통해 사실을 왜곡하는 고질적인 언론의 문제를 반복했다.

 

여가부 폐지 후 복지부 산하 본부로 재편 (세계일보)

여가부 폐지하고 이민청 신설은 보류 (헤럴드경제)

21년 만에 간판 내리게 된 여가부 (연합뉴스)

여성가족부, 21년만에 폐지...업무는 복지부·고용부로 넘긴다 (중앙일보)

 

 

(3/5)

 

여성가족부 폐지에 우호적인 여성단체만을 초청한 간담회를 여성계 의견수렴으로 포장하기도 했다.

 

편파적인 여성가족부의 행태를 무비판적으로 다룬 것이다.

 

김현숙 장관, 10일 여가부 폐지 관련 의견수렴 나선다 (헤럴드경제)

김현숙 장관, 여가부 폐지 관련 여성계 의견수렴 나서 (연합뉴스)

'여가부 폐지' 여성계 반발...김현숙 장관, 내일 의견수렴 (뉴스1)

김현숙 여가부 장관, 여성계와 만난다...거센 반발 잠재울까? (머니S)

 

 

(4/5)

 

사설에서 여성가족부 폐지를 촉구하고 나선 언론도 있었다.

 

특히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은 ‘젠더 갈라치기’라고 비판했던 서울신문이 폐지를 옹호하고 있는 것은 충격적이다.

 

[사설] 정부조직 개편, 野는 협조하고 尹은 유연한 자세를 (조선일보)

〈사설〉 여가부 폐지 포함한 '尹정부 조직개편' 신속 立法해야 (문화일보)

[사설] 여성가족 업무, 부처 간 협업과 운용의 묘 살리길 (서울신문)

 

 

(5/5)

 

윤석열 대통령은 선거 기간에는 지지층 결집을 위해, 취임 이후에는 지지율이 저조할 때마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이용하고 있다.

 

언론은 정부의 이런 행태를 무책임하게 받아 적는 것을 중단하고, 성평등 정책이 유지·강화될 수 있도록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야한다.

 

 

 

 

 

 

 

 


 

■■■■■■

 

 

 

1년 365일, 매일 한 명의 페미니스트와 연결되고 싶어요.


올해 민우회는 매일 한명의 새로운 후원회원을 기다리는 
[365일 365명의 회원과 함께]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방금 보신 활동을 응원하고 함께 하고 싶다면?


민우회 회원가입!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