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정치'가 놓친 것들 : 탁현민 사건의 현재진행형에 대한 여성운동 집담회
* 일시 : 2017. 11. 6(월), 오후 4시~7시
* 장소 :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안젤라홀
● 취지 및 기대
- 탁현민 해임요구에 담겨왔던, 촛불저항 이후 시작된 정부에 기대하는 젠더정치를 말한다
- 탁현민의 저작행위 이후, 어느 성폭력 피해자가 언론에 비판글을 게재한 것에 대해 언론사 상대 손배소 청구를 한 ‘개인적’ 선택과 공적 담론의 소멸에 대해 젠더정치의 눈으로 해석하고 비판한다
발제1. 문재인 정부의 젠더정치 : 탁현민과 여성의 상징적 소멸(여.세.연)
발제2. 여성폭력과 사회적 손해의 책임(한국성폭력상담소)
* 발제 이후 토론이 이어집니다.
● 문의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02) 824-7810
한국성폭력상담소 (02)338-2890
*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아래 링크로 사전신청을 부탁드립니다. 응답해주신 내용은 본 행사 이후, 모두 폐기할 예정입니다.
https://goo.gl/forms/D6IZAonZFxoi6q2I2
주최 :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ㅣ 한국성폭력상담소 ㅣ 한국여성의전화 ㅣ 한국여성단체연합 ㅣ 한국여성민우회
그 '정치'가 놓친 것들 : 탁현민 사건의 현재진행형에 대한 여성운동 집담회
* 일시 : 2017. 11. 6(월), 오후 4시~7시
* 장소 :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안젤라홀
● 취지 및 기대
- 탁현민 해임요구에 담겨왔던, 촛불저항 이후 시작된 정부에 기대하는 젠더정치를 말한다
- 탁현민의 저작행위 이후, 어느 성폭력 피해자가 언론에 비판글을 게재한 것에 대해 언론사 상대 손배소 청구를 한 ‘개인적’ 선택과 공적 담론의 소멸에 대해 젠더정치의 눈으로 해석하고 비판한다
발제1. 문재인 정부의 젠더정치 : 탁현민과 여성의 상징적 소멸(여.세.연)
발제2. 여성폭력과 사회적 손해의 책임(한국성폭력상담소)
* 발제 이후 토론이 이어집니다.
● 문의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02) 824-7810
한국성폭력상담소 (02)338-2890
*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아래 링크로 사전신청을 부탁드립니다. 응답해주신 내용은 본 행사 이후, 모두 폐기할 예정입니다.
https://goo.gl/forms/D6IZAonZFxoi6q2I2
주최 :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ㅣ 한국성폭력상담소 ㅣ 한국여성의전화 ㅣ 한국여성단체연합 ㅣ 한국여성민우회